2025 KBO 리그의 정규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팬들의 관심이 포스트시즌으로 집중되고 있습니다. KBO 사무국은 이미 포스트시즌 일정을 발표했으며, 티켓 예매 방법에 대한 안내도 마련했습니다. 포스트시즌 티켓은 매우 빠르게 소진되므로, 미리 계획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025 KBO 포스트시즌 일정
KBO 사무국은 2025 포스트시즌 일정을 9월 28일에 발표했습니다.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와일드카드 결정전
- 경기방식: 최대 2경기 (4위팀 1승 어드밴티지)
- 일정: 10월 5일 ~ 10월 6일
- 비고: 정규 시즌 4위 팀 홈구장에서 진행됩니다.
준플레이오프
- 경기방식: 5전 3선승제
- 일정: 10월 8일 시작
- 비고: 정규 시즌 3위 팀의 홈에서 1·2차전이 열립니다.
플레이오프
- 경기방식: 5전 3선승제
- 일정: 10월 16일 시작
- 비고: 정규 시즌 2위 팀 홈에서 1·2차전이 진행됩니다.
한국시리즈
- 경기방식: 7전 4선승제
- 일정: 10월 24일 시작
- 비고: 2-3-2 방식으로 정규 시즌 1위 팀 홈에서 1·2·6·7차전이 열립니다.
포스트시즌 운영 규정
- 각 시리즈 사이에는 최소 1일의 이동일이 배정됩니다.
- 우천으로 경기가 취소될 경우 순연되며, 서스펜디드 제도가 적용됩니다.
- 연장전은 최대 15회까지 진행되며, 무승부 발생 시 동일 구장에서 연전 방식으로 이어집니다.
- 2025 시즌부터는 노게임 및 강우콜드 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포스트시즌 티켓 예매 방법
포스트시즌 티켓은 인터파크 티켓에서 단독으로 판매됩니다. 다른 플랫폼에서는 공식적으로 구매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인터파크 계정을 준비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예매 오픈 시간은 경기를 기준으로 2~5일 전,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입니다.
예매 팁
- 각 팀의 공지에 따라 정확한 오픈 시간이 달라지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예를 들어, 플레이오프 1차전이 10월 16일이라면, 예매는 하루 전인 10월 15일 오후 2~3시쯤 시작됩니다.
- 구단 회원 선예매 혜택은 없으며, 모든 팬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하는 일반 선착순 예매 방식입니다.
성공적인 예매를 위한 준비
- 미리 로그인과 본인 인증, 결제 카드 등록을 완료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티켓 오픈 최소 10분 전부터 대기열에 접속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경기 당일 현장 매표소나 인터파크에서 추가로 오픈되는 취소표나 잔여석은 대부분 금방 소진되므로, 정식 예매가 사실상 유일한 기회입니다.
예매 예상 일정
포스트시즌 예상 일정 | 날짜 |
---|---|
와일드카드 결정전 | 10월 1일 ~ 10월 2일 |
준플레이오프 | 10월 3일 ~ 10월 5일 |
플레이오프 | 10월 11일 ~ 10월 13일 |
한국시리즈 | 10월 19일 ~ 10월 21일 |
포스트시즌 예매 예상 일정은 각 구단 공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마무리
2025 KBO 포스트시즌은 10월 5일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시작됩니다. 팬들은 인터파크 티켓에서 단독 판매되는 포스트시즌 티켓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확한 예매 일정과 오픈 시간은 KBO와 각 구단의 공식 공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사전에 계정과 결제 수단을 준비하고, 빠르게 접속하여 원하는 좌석을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포스트시즌 티켓은 어디서 구입하나요?
포스트시즌 티켓은 인터파크 티켓에서 단독으로 판매되며, 다른 플랫폼에서는 구매할 수 없습니다.
예매는 언제 시작되나요?
예매는 보통 경기를 기준으로 2~5일 전,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에 시작됩니다. 정확한 시간은 각 구단의 공지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선예매 혜택이 있나요?
구단 회원 선예매 혜택은 없으며, 모든 팬이 동일한 조건에서 일반 선착순으로 예매해야 합니다.
예매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팁은 무엇인가요?
미리 로그인과 본인 인증, 결제 카드 등록을 완료하고, 티켓 오픈 최소 10분 전부터 대기열에 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잔여석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경기 당일 현장 매표소나 인터파크에서 추가로 오픈된 잔여석을 확인할 수 있지만, 대부분 금방 소진됩니다.
이전 글: 환경보전협회 법정교육홈페이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