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제공되는 주요 청년 지원금의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청년기본소득
지원 대상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24세 청년 중 3년 이상 거주하거나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입니다.
지원 내용
분기별 25만 원씩, 연간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2025년부터는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인접한 시·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경기도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지원 대상
본인 또는 직계존속 중 1명이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대학(원) 재학생, 휴학생 및 미취업 졸업생이 해당됩니다.
지원 내용
2010년 2학기 이후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받은 등록금과 생활비에 대해 발생한 이자를 지원합니다.
경기청년 기회사다리금융
지원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25~34세 청년입니다.
지원 내용
저금리 대출과 우대금리 저축을 하나의 계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금융정책 상품입니다.
청년면접수당
지원 대상
만 18세 이상 만 39세 이하 청년이 대상입니다.
지원 내용
면접 1회당 5만 원씩 지원하며, 최대 10회까지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청년 복지포인트
지원 대상
경기도 내 중소기업 등에 재직 중인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근로자입니다.
지원 내용
연간 최대 120만 원 상당의 복지포인트를 지급합니다.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지원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8세~34세 이하 청년 중 일정 소득 이하인 근로자입니다.
지원 내용
2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경기도 지원금이 더해져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
경기청년 갭이어 프로그램
지원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34세 이하 청년입니다.
지원 내용
해외 연수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경기청년 사다리 프로그램
지원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34세 이하 청년이 대상입니다.
지원 내용
국내외 연수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년들의 역량을 강화합니다.
아래 표는 각 지원금의 주요 정보를 요약한 것입니다.
지원금 종류 | 지원 대상 | 지원 내용 |
---|---|---|
청년기본소득 | 24세 청년 (3년 이상 거주) | 분기별 25만 원, 연간 100만 원 |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 경기도 1년 이상 거주 대학(원)생 및 졸업생 | 이자 지원 |
기회사다리금융 | 25~34세 청년 | 저금리 대출 및 저축 상품 |
청년면접수당 | 18세~39세 이하 청년 | 면접 1회당 5만 원, 최대 10회 |
청년 복지포인트 |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근로자 | 연간 최대 120만 원 복지포인트 지급 |
청년 노동자 통장 | 18세~34세 이하 청년 (소득 기준) | 저축 시 경기도 지원금 추가 |
갭이어 프로그램 | 19세~34세 이하 청년 | 해외 연수 및 인턴십 기회 제공 |
사다리 프로그램 | 19세~34세 이하 청년 | 국내외 연수 및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
각 지원금의 세부 내용과 신청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 공식 홈페이지나 관련 기관의 공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청년기본소득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경기도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에서 분기별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각 지원금마다 지급 일정이 다르므로, 해당 기관의 공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경기도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대학(원)생과 미취업 졸업생이 지원 대상입니다.
청년 복지포인트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복지포인트는 경기도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을 통해 지급받고, 사용처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갭이어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경기도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